SSG 랜더스가 2025시즌 새로운 육성 시스템을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8주 프로젝트와 12주 프로젝트라는 타이틀을 붙인 집중 육성 프로그램으로 선수들의 체력과 기량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8주·12주 프로젝트로 효율 극대화
SSG는 올해 새로운 방식의 육성 시스템을 구축했다. 8주 프로그램 대상은 총 8명으로, 야수는 2025년 신인 이율예·최윤석과 이승민·박정빈 등 4명, 투수는 올해 신인 김현재·박기호와 박성빈·김택형 등 4명이다.
12주 프로젝트는 선발투수만을 대상으로 하며 신지환·천범석·이도우 등 2025년 신인 3명이 참여하고 있다.
개인 맞춤형 훈련으로 동기부여
SSG는 공통의 프로그램을 소화한 후 개개인 맞춤 운동을 진행한다. 선수마다 보완해야 할 점이 있어 부족한 부분을 채울 운동을 처방한다며 육안으로도 운동 효과를 체감할 수 있어 동기부여가 된다고 설명했다.
데이터로 입증된 성장
SSG가 3~5월 매달 체크한 데이터에서 훈련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율예는 최대 근력이 3월 3079N에서 5월 3420N으로 11.1% 증가했다. 야수 평균이 3307N인 것을 감안하면 프로 선수 수준에 근접한 것이다.
순간적 힘 생성 속도인 순발력도 3월 3222N/s에서 5월 4977N/s로 크게 향상됐다. 야수 평균 4333N/s를 상회하는 수치다.
최윤석도 눈에 띄는 성장세
또 다른 신인 내야수 최윤석도 같은 성장 궤적을 보이고 있다. 순발력이 3월 4777N/s에서 5월 5822N/s로 향상됐고, 최대 근력도 3월 3304N에서 3685N까지 끌어올렸다.
코치진의 체계적 접근법
유재민 스트렝스 코치는 선수 유형을 굵직굵직하게 나눈다. 공통 훈련을 진행하면서 기능적으로 부족한 부분은 우선적으로 한다며 당장 몸이 달라진 것을 선수가 느낀다. 강한 신체가 밑바탕에 깔려야 하고, 몸을 잘 만드는 문화를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선수들의 자발적 루틴 형성
이형삼 컨디셔닝 코치는 훈련 효율성이 생기고 선수들도 더 집중력이 생기는 것 같다며 선수들이 자기 루틴도 만든다. 신지환은 원정 가기 전에 새벽에 프로그램을 미리 소화한다. 본인이 선발투수 루틴을 만들고 있다는 점이 좋고, 다른 선수들에게도 영향을 준다고 평가했다.
추신수 보좌역의 아이디어
새 시스템 구축에는 추신수 구단주 보좌역의 역할이 컸다. 유재민 코치는 추신수 보좌역이 고안했다. 육성 시스템을 만들면서 부족한 선수들이 잘 채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이형삼 코치 역시 추신수 보좌역이 친구 이대호, 김태균이 잘할 때 나는 움츠리고 있었다. 도약하기 위해 그런 시간도 필요하다고 했다. 프로젝트를 통해 잘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육성에 공들이는 SSG의 성과
SSG는 원래 육성에 많은 공을 들이는 팀으로 유명하다. 2025시즌에도 인천SSG랜더스필드에 많은 새 얼굴들이 등장하고 있어 육성 시스템의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